반응형

지금껏 플젝을 진행하면서 SpringBoot의 cron Scheduler만 사용을 하다가, 특이한 요구사항(?)으로 인해 fixedDelay, fixedRate를 사용하게 되었다. 사용을 해보니 fixedDelay만을 사용하게 되었지만, 이 참에 정리해보고자 한다.

 

일단 fixedDelay와 fixedRate의 구현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import org.springframework.scheduling.annotation.Scheduled;
 
@Scheduled(fixedDelay = 1000)
public void fixedDelayScheduler() {
  logger.info("FixedDelay Start!");
  try {
    Thread.sleep(600);
  } catch {
    e.printStackTrace();
  }
  logger.info("FixedDelay End!");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import org.springframework.scheduling.annotation.Scheduled;
 
@Scheduled(fixedRate = 1000)
public void fixedRateScheduler() {
  logger.info("FixedRate Start!");
  try {
    Thread.sleep(600);
  } catch {
    e.printStackTrace();
  }
  logger.info("FixedRate End!");
}
cs

사실 구현에 있어 fixedDelay , fixedRate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어떻게 동작하느냐가 매우 다르므로 사용상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먼저, fixedDelay는 현재 Schedule 상에 걸린 작업을 모두 끝난 이후에 설정된 시간이 카운팅되는 형태이며

fixedRate는 현재 Schedule 상에 걸린 작업의 완료 여부와 상관 없이 Scheduler가 시작한 시간으로부터 카운팅되는 형태이다.

 

위의 소스에 대해 로그를 살펴보자.

1
2
3
4
5
6
7
### Fixed Delay ###
2021-06-21 14:05:36.094  INFO 5536 --- [   DUMMY-1] com.example.DummyController   : FixedDelay Start!
2021-06-21 14:05:36.695  INFO 5536 --- [   DUMMY-1] com.example.DummyController   : FixedDelay END!
2021-06-21 14:05:37.698  INFO 5536 --- [   DUMMY-1] com.example.DummyController   : FixedDelay Start!
2021-06-21 14:05:38.300  INFO 5536 --- [   DUMMY-1] com.example.DummyController   : FixedDelay END!
2021-06-21 14:05:39.301  INFO 5536 --- [   DUMMY-1] com.example.DummyController   : FixedDelay Start!
2021-06-21 14:05:39.903  INFO 5536 --- [   DUMMY-1] com.example.DummyController   : FixedDelay END!
cs

 

1
2
3
4
5
6
7
### Fixed Rate ###
2021-06-21 14:06:42.762  INFO 5536 --- [   DUMMY-1] com.example.DummyController   : FixedRate Start!
2021-06-21 14:06:43.363  INFO 5536 --- [   DUMMY-1] com.example.DummyController   : FixedRate END!
2021-06-21 14:06:43.763  INFO 5536 --- [   DUMMY-1] com.example.DummyController   : FixedRate Start!
2021-06-21 14:06:44.365  INFO 5536 --- [   DUMMY-1] com.example.DummyController   : FixedRate END!
2021-06-21 14:06:44.765  INFO 5536 --- [   DUMMY-1] com.example.DummyController   : FixedRate Start!
2021-06-21 14:06:45.367  INFO 5536 --- [   DUMMY-1] com.example.DummyController   : FixedRate END!
cs

두 소스 모두 Start와 End 사이에 600ms의 Sleep을 주었다. 그 후에 End log가 찍히며, 이후 설정된 시간인 1000ms(1sec) 이후에 스케쥴러가 재실행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FixedDelay의 경우에는 14:05:36.094에 Start, 600ms Sleep 이후인 14:05:36:695에 End가 찍혔으며 End log가 찍힌 1000ms 이후인 14:05:37:698에 해당 스케쥴러가 실행되었다. 첫번째 Start 로그와 두번째 Start 로그의 시간차는 중간에 Thread.sleep으로 걸어준 600ms가 반영된 1600ms 만큼 차이가 존재한다.

 

FixedRate의 경우에는 14:06:42.762에 Start, 600ms Sleep 이후인 14:06:43:363에 End가 찍혔으나 그 시간과는 상관없이 Start 로그는 첫번째 Start 로그가 찍힌 시간에서 1000ms 이후인 14:06:43:763에 Start 로그가 찍혔다. 즉, 첫번째 Start 로그와 두번째 Start 로그의 시간차는 도중의 Thread.Sleep이 무시가 된 1000ms로 동일하다.

 

이는 스케쥴러 작업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내가 이번 프로젝트에서 fixedRate를 배제하고 fixedDelay를 사용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조건1. A 스케쥴러는 5분(300초)의 주기로 작동한다
조건2. A 스케쥴러에서 수행하는 작업은 짧게는 10초, 길게는 10분 이상이 소요된다
조건3. 조건2의 작업에서, DB의 Insert/Update 작업이 수시로 발생한다

위와 같은 작업상황에서 fixedRate로 수행을 할 경우, 조건 1의 10분정도 걸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5분이 지난 시점에 동일한 A 스케쥴러가 작동을 하게 될 것이며, 같은 작업을 두 번 이상 수행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는 의도된 행동과는 다르게 동작하기에, 동일한 데이터에 대해 한 번만 처리가 되어야 하는 작업을 여러번 처리하게 되므로 오작동을 하게 된다.

 

이에, 수행시간동안에는 스케쥴러가 동작하지 않고, 작업이 끝난 이후 설정된 시간 텀을 주는 fixedDelay를 사용하게 된 이유라고 볼 수 있다.

 

추가로, fixedDelayString , fixedRateString으로도 선언이 가능하며, 이는 long형 대신 String 형으로 선언을 받는다는 차이가 있다. application.yml에 선언하고 쓰기에 좋음ㅋ

 

*** 하나 더 추가

Springboot 에서 @Scheduled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인 클래스에 @EnableScheduling 을 선언해주어야 정상 동작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김생선

세상의 모든것을 어장관리

,
반응형

SpringBoot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앞으로 쓰일 여러가지들을 정리해본다.

 

1. 단일 항목 가져오기

application.yml과 application.property는 문법이 조금 다르다지만 뭐 그런건 크게 중요하지 않다.

일단 단일 항목을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1
2
3
4
5
### Saimple application.yml ###
 
async:
 coreName: Test
 coreSize: 10
cs

 

1
2
3
4
5
6
7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Value;
 
@Value("${async.coreName}")
private String asyncCoreName;
 
@Value("${async.coreSize}")
private int asyncCoreSize;
cs

요러케 하면 String/Int 형으로 각각의 선언된 항목을 가져올 수 있다.

 

2. Array 항목 가져오기

1
2
3
4
### Saimple application.yml ###
 
async:
 intervalTime: 0910111213
cs
 
1
2
3
4
5
6
7
8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Value;
 
@Value("${async.intervalTime}")
private String[] strAsyncIntervalTime;
 
@Value("${async.intervalTime}")
private int[] intAsyncIntervalTime;
 
cs

 

Array로 지정된 항목들에 대해서는 sample application.yml과 같이 쉼표, 공백문자열을 이용해 구분해준다.

String/Int 형태의 Array로 변환이 가능하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김생선

세상의 모든것을 어장관리

,
반응형

중계서버를 만드는데, 내부에서 Postman으로 쏠땐 잘 되고, 타 팀의 개발자가 피들러로 쏠 땐 500 에러가 떨어진다고 메시지를 보내왔다. 뭐가문젠가? 이상하다? 그래서 로그를 찍어봤다.

 

현황을 보니 일단 bearer token도 잘 들어있고, 빈 파라미터도 없이 문제는 크게 보이지 않는다. 심지어, 이중구조로 된 곳에서 데이터는 잘 들어왔고 DB에 insert까지 잘 된 상황. 그런데 response에서 에러가 발생하는거다. 뭔가 이상하다. 그래서 header를 보기 시작했다.

 

기본적으로 삽입되는 header 외에, 타 팀에서 삽입한 header에 못보던 놈이 들어가있었다. "Expect": "100-continue"항목이었다. 이걸 내 Postman 에서 삽입해보고 테스트하니 동일한 500 에러가 발생한다. 해당 항목을 빼고 테스트를 요청하자, 정상적으로 response가 동작했다.

 

그래서 저게 무슨 옵션인가, 하고 찾아보니 대략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상태를 보고 request를 요청하는데 서버가 http 1.1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한다 적혀있다. 내 플젝은 http/1.1을 지원하지만, 앞단에 있는 gateway 서버에서 해당 옵션을 지원하지 않는것으로 확인. 뭐 이렇게 처리했다.

 

별 내용은 아니지만 혹시나 나중에 찾을까봐.

반응형

'어장 Devel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chromedriver 설치부터  (1) 2022.04.10
[MacBook] M1 MacBookPro 에 openjdk설치  (0) 2022.04.09
[tomcat] p12 ssl 적용  (0) 2020.06.08
[Linux] Centos Alias 설정  (0) 2020.04.11
[Linux] make: g++: Command not found  (0) 2019.08.12
블로그 이미지

김생선

세상의 모든것을 어장관리

,
반응형

0. 현재상황

중계서버를 만들고 있다. 개발하다 보면 흔히 있는 일인데, 앞단(통칭 A)에서 전달해주는 JSON Key와 우리가 전달해줘야 하는 뒷단(통칭 B)의 JSON Key가 다른 경우가 있다. 같은 의미의 파라미터라고 하더라도, A서버는 "testEMail" 이라는 Key로 전달해줄 때, B서버는 "test_email"이라는 key로 받아야 한다. 그럴 땐 대충 아래와 같이 작업하는 편이다.

1
2
3
4
5
Map<String, Object> bMap = new HashMap<String, Object>();
//bMap에 담아서 B서버로 전달
if ( jsonResult.containsKey("testEMail")) {
   bMap.put("test_email", jsonResult.get("testEMail"));              
}
cs

뭐 근데 쓰다보면 불편한 점이 참 많다. 간단하게 한두개야 이렇게 한다손 치더라도, 후에는 오류가 생길 수 있다. 담당 개발자가 바뀐다거나 또는 Parameter Key가 변경된다거나 하는 정도로. 그래서 이래저래 고민하다 찾아보니 Enum이 있더라. 그래서 냅다 바꿨다.

 

1. Enum clas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Getter
public enum aParamMapper {
    //좌측 - a서버 , 우측 - b서버
    testNm("testNm""test_nm"),    //사용자명
    testTelNo("testTelNo""test_tel_no"), //사용자전화번호
    testEMail("testEMail""test_email"), //사용자이메일
    ;
 
    private String aParam;
    private String bParam;
 
    bParamMapper(String aParam, String bParam) {
        this.aParam = aParam;
        this.bParam = bParam;
    }
}
 
cs

enum class를 하나 만들어서, 4~6번 라인과 같이 매칭시켜줄 것들을 만든다. 타입에는 arraylist도 들어가고 많은데, 아직 그런 활용성은 생기지 않았다.

 

2. 사용

1
2
3
4
5
6
7
8
Map<String, Object> bMap = new HashMap<String, Object>();
//bMap에 담아서 B서버로 전달
if ( jsonResult.containsKey(bParamMapper.testNm.getbParam())) {
   bMap.put(
       bParamMapper.testNm.getbParam()
       , jsonResult.get(bParamMapper.testNm.getaParam())
        );
}
cs

* 소스가 좀  길어져서 임의로 줄바꿈 함

0. 현재상황 의 4번 라인은 key/value 값이 각각 String 인자값으로 하드코딩 되어있는데 반해, 2.사용 의 5~6번 라인은 key/value 값을 enum을 통해 가져오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한두군데에서 쓰는 방식이라면 굳이 enum을 써야하나 싶긴 한데, 이를 활용하면 공통되는 부분을 모두 대체할 수 있는 데다가, 향후 Parameter Key가 변경되었을 때의 대처방안, 대소문자 구분자에 대한 해결방안 등도 모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김생선

세상의 모든것을 어장관리

,
반응형

어느날 유튜브를 보다가 유튜버 숙성맨https://youtu.be/OKSbILK3Wqs 님의 영상을 보고 잠봉을 만들어보았다. 글을 쓰는 현재 총 두 종의 고기로 잠봉을 만들어보았고 모두 다 성공적이었다.

 

기본적인 염지액으로 아래와 같이 계량하였다.

 

[주의] 피클링 솔트(아질산나트륨, 아질산염)는 인체에 매우 치명적이므로, 절대적으로 계량을 필히 하여 사용할 것.

 

1. 염지액 준비 및 고기 다듬기

돼지 안심 한 근(600g)을 구매하여 300g씩 소분, 고기는 대충 근막을 잘라내고 불순물을 없애기 위해 차가운 물로 씻었다. 그 후에는 키친타올 등으로 고기의 수분을 모두 제거해주었다.

처음 만들어보는 것이기에 각각의 염지액을 다르게 만들어보았다.

기본 염지액은 다음과 같다.

 

기본 염지액

0. 물 500ml 기준, 염농도 4%, 아질산염 900ppm을 목표로 계량함

1. 피클링 스파이스 2.5g

2. 마늘 파우더 2.5g

3. 소금(필자는 천일염 사용) 15g

4. 피클링 솔트 5g

 

여기에 다른 염지액은 기본 염지액에 하단과 같이 첨가하였다

1. 기본염지액

2. 피클링 스파이스 1.1g

3. 페퍼론치노 4.3g

4. 흑후추 2.5g

 

뭐 대충 이런 느낌

2. 염지 - 32시간 소요

고기의 크기(두께)에 따라 염지시간은 다르게 가져가는 것이 옳다고 본다. 돼지 안심의 경우에는 고기의 두께가 그리 두껍지 않으므로, 32시간 정도면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필자는 21.01.20 23시에 염지를 시작하였고, 21.01.22 07시에 염지를 종료하였다.

염지가 끝난 후에는 고기를 차가운 물에 씻고, 키친타올로 다시 수분을 없애준 다음 체반과 같은 곳에 담아 냉장고에서 레스팅 시간을 가졌다.

 

* 염지가 끝난 후에 차가운 물에 고기를 씻어내는 이유는 "염분 농도 조절"과 "불순물 제거"가 주 목적이 된다. 후에 4% 염도의 경우에 시식을 해 본 결과 그리 짜다는 생각이 들진 않았으므로, 나는 그냥 불순물 제거를 주 목적으로 삼았다.

 

이땐 몰랐다. 차라리 요리용 실로 묶어줬으면 더 예뻤을텐데

이대로 냉장고에 직행, 12시간의 레스팅을 갖을것이다.

 

3. 레스팅 - 12시간, 수비드 64도 - 12시간

레스팅 종료 후에는 크게 할 것이 없었다. 그대로 진공포장기에 넣어 진공을 잡고, 64도의 수비드로 12시간을 돌려줄 것이다.

수비드머신은 오래전 스테이크를 해먹기 위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구매한 60달러 정도의 저렴한 머신이다.

 

레스팅은 21.01.22 19시에 종료하였으며, 수비드는 즉시 실행하였다. 21.01.23 07시경에 수비드를 종료할 것이다.

 

4. 수비드 종료, 칠링 30분

자고 일어나서 수비드를 종료했다. 그리고 얼음물을 준비하여 바로 칠링작업을 거쳤다. 64도에서는 식중독 균 등 인체에 해가 될만한 세균이 모두 사멸하지 않는 온도로, 세균이 아주 활발하게 작용을 할 40~50도의 온도를 빠르게 지나쳐, 저온살균을 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이는 "수비드 요리 방식 중, 보관"을 위한 작업으로 만약 바로 섭취를 한다면 칠링작업은 건너뛰어도 문제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우리가 이번에 만드는 잠봉과 같은 경우에는 냉장고에 보관을 할 것이기 때문에 "칠링 작업은 필수"이다.

 

5. 완성

칠링까지 끝내고 모두 완성이 되었다. 제작에 걸린 총 시간은 약 56시간 정도로, 실질적으로 손이 가는 구간은 염지외에는 크게 없었다. 첫번째 기본 염지액으로 제작한 잠봉과 두번째 염지액으로 제작한 잠봉의 맛은 사실 후추의 맛 차이 외에는 크게 없었다. 페퍼론치노의 매콤한 맛이 배어들길 원했지만, 갈지 않고 통째로 넣어서인지 매콤한 맛이 부족했다.

의외로 아주 맛있었으며, 색도 예쁘게 빠졌다. 급한대로 식빵과 버터를 꺼내 잠봉블랑을 만들어보았는데 이 또한 괜찮았다.

기본 염지액 잠봉
후추/페퍼론치노 등이 더 첨가된 잠봉
급한대로 만들어본 잠봉블랑

향신료를 제외한 고기값도 얼마 들지 않았고, 전기요금이 조금 걱정되긴 하지만 이정도의 맛이라면 충분히 감수할만 했다. 아주 만족스러웠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김생선

세상의 모든것을 어장관리

,
반응형

안드로이드 10 업데이트가 되면서, 사용하는 갤럭시S10 에서 볼륨버튼을 길게 눌러 볼륨 조절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주로 무선 헤드폰을 사용하는지라 인지하는데 시간이 꽤 걸렸는데, 찾아보니 안드로이드10 에서의 볼륨버튼에 정책적인 변화가 있었나보다.

 

파워앰프나 유튜브 앱 같은 곳에서 정상동작하는 것을 보니 뭔가 문제가 있긴 한가보다.

 

여튼, 아래의 절차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길게 눌러 볼륨버튼이 안먹히는 상황. 한 번씩 눌러줘야 볼륨조절이 가능하다.

 

 

갤럭시S10 기준, 설정 화면 -> 검색창에 "어시스턴트" 라고 검색한다. 여기에서 "어시스턴트 기기" 항목을 찾아 들어간다.

 

나의 경우에는 "유선 헤드폰" 항목을 터치하여 들어갔다. 사용자마다 다른것이 아닐까 싶지만.

 

여기에서 최상단의 "Google의 도움받기" 항목을 그림과 같이 꺼준다.

 

끄고나니 길게 눌러서 볼륨조절하는 것이 정상동작한다. 허허 이거 참 신기한 일일세.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김생선

세상의 모든것을 어장관리

,
반응형

고객사에서 MariaDB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던 와중, 잘 구동되던 Tomcat을 재구동하게 되었는데 오류메시지 "Access denied for user '계정명'@'localhost'(using password:YES)" 라는 오류가 발생한다. 이전까지는 재구동하는데 문제가 없었고, 오류가 생길만한 작업은 약 서너가지 정도가 짚히는 상황이었다. 현재 WAS 설정으로는, server.xml 및 context.xml 내에서 JNDI를 해당 MariaDB로 설정해둔 상태였다.


먼저, MariaDB에 익숙하지 않은 나인지라 용어의 혼란이 조금 있을 것 같아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이해를 하고 있다.  MariaDB는 계정별로 두 개의 권한을 갖는 듯한 모습이었다. MariaDB의 계정 테이블을 쿼리해보면 Host라고 작성된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 localhost 및 % 정도로 권한(?)이 부여가 된다. localhost는 내부에서만 접속이 가능하고, %은 내/외부에서 접속이 모두 가능한 권한 정도로 이해하고 있다.


1. 원인파악

본론으로 돌아와서 검색해보니 뭐 당연하게도 해당 계정의 localhost 권한이 없다는 문구다. 그래서 MariaDB가 설치된 서버에 접속하여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했다. 해당 명령어는 shell 에서 MariaDB에 접속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1
mysql -u 계정명 -p
cs

그런데 위의 tomcat과 마찬가지로 "Access denied for user '계정명'@'localhost'(using password:YES)" 오류가 발생한다. 그래서 MariaDB의 root계정으로 접속하려는데, root 권한 또한 마찬가지 오류가 발생한다. 


이래저래 구글링을 해보니,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찾게 되었다.

1
sudo /usr/bin/mysqladmin -u root password [비밀번호]
cs

해당 명령어는 서버의 root 권한으로 서버 내에 설치된 MariaDB의 root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는 것이다. 이 이후에, mysql -u root -p 명령어로 접속하였고, localhost 계정을 다시 생성해주려 하였다.


1
MariaDB[(none)]> CREATE USER '계정명'@'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cs

했더니, 아래와 같은 오류메시지가 출력된다.


1
ERROR 1396(HY000) : Operation CREATE USER failed for '계정명'@'localhost';
cs

뭔가 해서 봤더니 직접 생성이 불가능한 것 같다. 혹시나 싶어, 계정 테이블을 직접 쿼리해서 상태를 좀 보고자 했다.


1
2
MariaDB[(none)] > use sql; --Database를 변경하는 명령어
MariaDB[(mysql)] > SELECT * FROM user WHERE user='계정명';
cs

해당 명령어로 조회해보니 우리 DB에서 사용중인 계정 - Host(권한이라고 이해중)별 비밀번호가 각각 다른것이었다. A 계정의 % Host(권한)과 A 계정의 localhost Host(권한)과 비밀번호가 각기 다른 상황. 이러니 서버나 tomcat에서 접속할 때에는 Access Denied For User 에러가 발생했을 것이고, 개발자 PC의 DB툴로는 접속이 잘 되었겠지. 이제 원인이 파악된 상황이다.


1
2
3
4
5
6
7
8
9
10
+-------------------------------------------------------------------------------+
| Host      | User        | Password              | Select_priv  | Insert_priv  |
+-------------------------------------------------------------------------------+
| localhost | mariadb.sys |                       | N            | N            |
| localhost | root        | *E1C459C5 ~~~~~~~~~   | Y            | Y            |
| localhost | mysql       | invalid               | Y            | Y            |
| localhost |             |                       | N            | N            |
| %         | test        | *0B26A ~~~~~~~~~~~~~~~| N            | N            | 
| localhost | test        | *COB5F ~~~~~~~~~~~~~~~| N            | N            | 
+-------------------------------------------------------------------------------+

cs

* test라는 계정의 % Host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0B26A로 시작하는데, localhost는 *COB5F로 시작한다. 이러니 외부에서 접속하는 % Host는 기존 비밀번호로 접속이 되고, 같은 서버 내에 있는 tomcat은 기존 비밀번호로 접속이 안되겠지.



2. 문제해결


일단 원인은 알았다. test 계정의 % 비밀번호와 test 계정의 localhost 비밀번호가 다르기에 생긴 문제라는 것. 일단 localhost 비밀번호가 왜 저렇게 변경되었는지는 작업자들에게 물어보면 될 것이고, 접속이 되도록 수정을 해야겠다. 이럴땐 뭐다? test 계정의 localhost Host(권한)비밀번호를 기존에 사용중인 비밀번호로 Update 쳐주면 될 것이다.


1
MariaDB[(mysql)] > UPDATE user SET password=('비밀번호') WHERE user='계정명';
cs

했더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1
ERROR 1348(HY000) : Column 'Password' is not updatable.
cs

않이; 뭐냐 대체 이건. 또다시 검색해보니 MariaDB 10.4 버전 이상은 user테이블을 직접관리하지 않고, 파일이나 뭐 그런식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기존의 user테이블 update 방식은 사용할 수 없다고 한다. 그래서 또다시 뒤져보니 명령어로 직접세팅하는 방법이 있었다.


1
MariaDB[(mysql)] > set password for '계정명'@'localhost=password('비밀번호');
cs

했더니, Query OK, 0 rows affected (0.014sec) 메시지가 출력되었다. 그리고 다시 user 테이블을 확인해보았고, 해당 계정의 % Host와 localhost Host의 비밀번호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2
3
4
5
6
7
8
9
10
+-------------------------------------------------------------------------------+
| Host      | User        | Password              | Select_priv  | Insert_priv  |
+-------------------------------------------------------------------------------+
| localhost | mariadb.sys |                       | N            | N            |
| localhost | root        | *E1C459C5 ~~~~~~~~~   | Y            | Y            |
| localhost | mysql       | invalid               | Y            | Y            |
| localhost |             |                       | N            | N            |
| %         | test        | *0B26A ~~~~~~~~~~~~~~~| N            | N            | 
| localhost | test        | *0B26A ~~~~~~~~~~~~~~~| N            | N            | 
+-------------------------------------------------------------------------------+

cs

이후, tomcat을 재구동하였더니 정상동작 하였다.



3. 후기


MariaDB를 직접적으로 설정하고 사용할 일이 없어 여러모로 삽질을 많이하게 되었다. 문제해결하면서 알게된 점을 아래에 간략하게 작성해보았다.

계정은 Host(권한)별로 password가 지정된다는 점이다. 위에서도 보여지듯, test 계정임에도 불구하고 로컬(같은 서버내)에서 접속가능한 비밀번호와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비밀번호가 각기 설정되어있다.


또한, 명령어의 password('비밀번호')는 자동으로(?) 인코딩되어 설정된다는 점이었다. 혹시나 싶어 구글링한 결과 그대로 작성해보았는데, 알아서 인코딩되어 저장되는 것을 보니 어딘가에 설정이 박혀있는게 아닐까 싶다. 뭐 복잡시럽게 sha256으로 인코딩해서 직접 박아넣는게 아니라 다행이다 싶다.


위의 상황이 발생하게 된 계기는, 하나의 서버를 여러부서가 공동으로 개발장비로 사용하는 중이었고, MariaDB를 우리팀에서 설치, 사용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타 부서에서 MariaDB를 사용 할 일이 생기게 되었고, 우리가 설치한 MariaDB에 접속이 안되니 멋대로 서버의 root 권한으로 test계정의 localhost 비밀번호를 바꿔버려 생긴 문제였다. 거기에, 우리팀 막내가 당일 MariaDB 설정과 관련하여 파일 권한이라거나 기타 설정들을 바꾸면서 MariaDB Service를 재구동하는 등 여러 변경점이 생기다보니 우리팀 내에서만 원인 찾기가 힘든 상황.


나의 경우에는 계정-host별 비밀번호가 다르게 적용되는 줄 몰랐던터라, 애꿎은 DB보안프로그램과 서버접속 보안프로그램 탓을 했었다. tomcat 재구동 작업을 하기 바로 전날 야간에 설치가 되었던터라, 이 부분이 문제인줄 알았던 것. 여러 작업적인 이슈가 겹치다보니 생긴 당연한 인재였다. 개발서버였기에 망정이지, 실 운영이 진행중인 운영서버였다면 초대형사고였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이유로, 무슨 작업이든 작업이 있을 경우에는 연관부서에 모두 noti를 해줘야한다는 것이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김생선

세상의 모든것을 어장관리

,
반응형

프로젝트를 하다가 p12 key로 SSL 적용할 일이 생겼다. 지금까지는 pem 키라거나 뭐 그런거로 했었는데. 여튼 오랜만에 적용해보니 살짝 헤매서 정리해놓는다.


p12든 뭐든 사실 크게 다른 건 없다. 단지 $catalina_home/conf/server.xml이 조금 달라질 뿐.


1
2
3
4
<Connector port="8081" protocol="org.apache.coyote.http11.Http11NioProtocol"
  maxthreads="150" SSLEnabled="true" scheme="https" secure="true"
  clientauth="false" sslProtocol="TLS" keystoreType="pkcs12" 
  keystorePass="비밀번호" keystoreFile="/home/keystore/keystore.p12"/>
cs


별다른 건 없다. 위와 같이 적용해주면 된다.

기존의 Connector는 주석으로 너굴맨이 처리했으니 걱정말라구!


주의할 점은 keystoreType이 대소문자를 구분하는건지, PKCS12로 썻다가 안먹혀서 좀 당황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김생선

세상의 모든것을 어장관리

,
반응형

RESTful API를 개발하다가 좀 멘붕에 오는 상황을 발견했다. postman으로 아무리 날려도 파라미터는 계속 false만 찍는 것이었다.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았다.


1
2
3
4
private boolean isBusiness;     // 개인용 false / 법인용 true
private String userName;        // 개인용 - 사용자명 / 법인용 - 법인명
private String userSex;         // 개인용만 사용, 성별
private String userInfo;        // 개인용 - 사용자 태그 / 법인용 - 법인 태그
cs


로그는 다음과 같다.

2020-05-13 18:30:47.801  INFO 17740 --- [nio-9988-exec-1] o.s.web.servlet.DispatcherServlet        : Completed initialization in 5 ms

[사용자정보] UserIssueVO: UserIssueVO(isBusiness=false, userName=TEST, userSex=M, userInfo=TEST_tag)


파라미터를 바꾸면 잘되고 해서 대체 뭐가 잘못인가. 대충 30분 정도 고민하다가 개발자들의 꿈과 희망, 스택오버플로우에서 검색하니 다음과 같은 링크가 뜬다.


JSON Post request for boolean field sends false by default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1913955/json-post-request-for-boolean-field-sends-false-by-default


그래서 찾아보니, lombok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으로 getter/setter를 생성할 때에는 boolean 필드이름에 'is'를 쓰지 않는 것이 맞다고 한다. jackson의 java bean 네이밍 규칙이라고.

어쩐지 이후 로직을 짤 때 세팅하는 쪽에서 isBusiness로만 찍히기에 조금 의아하긴 했다.


여튼 한가지 알아둘 점은 lombok 사용시 boolean 필드명은 is를 쓰지 않는다는 것. 이거 하나면 됐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김생선

세상의 모든것을 어장관리

,
반응형

alias를 설정하면 긴 명령어(수많은 디렉토리들..)를 단축하여 편하게 작업할 수 있다.

나만이 쓰는 서버라면 무엇을 정해도 상관없지만, 공용개발서버라면 개발자들간의 이해와 협의가 필요할듯.


현재 적용된 alias는 alias 라는 명령어로 확인 가능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root@localhost go]# alias
alias cdcc='cd /home/host/test/chaincode/test-cc/go'
alias cdh='cd /home/host'
alias cp='cp -i'
alias egrep='egrep --color=auto'
alias fgrep='fgrep --color=auto'
alias grep='grep --color=auto'
alias l.='ls -d .* --color=auto'
alias ll='ls -l --color=auto'
alias ls='ls --color=auto'
alias mv='mv -i'
alias rm='rm -i'
alias which='alias | /usr/bin/which --tty-only --read-alias --show-dot --show-tilde'
cs


현재 적용된 alias들

수정 명령어는 vi ~/.bashrc로 가능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root@localhost go]# vi ~/.bashrc
 
# .bashrc
 
# User specific aliases and functions
 
alias rm='rm -i'
alias cp='cp -i'
alias mv='mv -i'
alias cdh='cd /home/host'
alias cdcc='cd /home/host/test/chaincode/test-cc/go'
 
# Source global definitions
if [ -/etc/bashrc ]; then
        . /etc/bashrc
fi
 
cs

alias를 적용하고, 저장 후 종료한 다음에는 꼭 source ~/.bashrc를 해줘야 현재 쉘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root@localhost go]# source ~/.bashrc
[root@localhost go]# alias
alias cdcc='cd /home/host/test/chaincode/test-cc/go'
alias cdh='cd /home/host'
alias cp='cp -i'
alias egrep='egrep --color=auto'
alias fgrep='fgrep --color=auto'
alias grep='grep --color=auto'
alias l.='ls -d .* --color=auto'
alias ll='ls -l --color=auto'
alias ls='ls --color=auto'
alias mv='mv -i'
alias rm='rm -i'
alias which='alias | /usr/bin/which --tty-only --read-alias --show-dot --show-tilde'
cs


굳ㅋ

반응형

'어장 Devel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1.1] Expect: 100-continue  (0) 2021.03.18
[tomcat] p12 ssl 적용  (0) 2020.06.08
[Linux] make: g++: Command not found  (0) 2019.08.12
[JavaScript] timestamp convert to date type  (1) 2019.03.15
[Intellij] 인텔리제이 - lombok 설치  (0) 2018.09.06
블로그 이미지

김생선

세상의 모든것을 어장관리

,